
최근 중국에서 자체 개발한 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등장하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NVIDIA)의 입지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해 자체 AI 모델과 반도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의 매출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딥시크의 등장으로 엔비디아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 딥시크(DeepSeek)란 무엇인가?
딥시크(DeepSeek)는 중국이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로, 중국의 AI 독립을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 딥시크의 주요 특징
- 오픈소스 AI 모델로 누구나 사용 가능
- 중국어 최적화 → 중국 내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언어 이해도가 뛰어남
- 수학 및 논리 연산 강화 → AI 계산 정확도가 향상됨
- 자체 데이터센터 및 반도체 활용 → 엔비디아 GPU 의존도 감소
중국은 미국의 AI 반도체 제재로 인해 최신 엔비디아 GPU(A100, H100) 구매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자체 AI 반도체 및 AI 모델을 개발하며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려 하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NVIDIA)에 미치는 영향

1️⃣ 중국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매출 감소 가능성
엔비디아는 글로벌 AI GPU 시장에서 약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자체 AI 모델과 반도체를 개발하면서, 국산 AI 칩 사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엔비디아의 전체 매출 중 약 25%가 중국에서 발생했습니다. 만약 중국 기업들이 엔비디아 대신 화웨이, SMIC(중국 반도체 기업)의 AI 칩을 사용한다면 엔비디아의 매출 감소는 불가피할 것입니다.
2️⃣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강화
미국 정부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GPU(A100, H100)를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금지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를 우회하기 위해 중국 전용 GPU(H800, A800)을 개발했지만, 미국 정부가 추가 규제를 가하면서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가 약화되고 있습니다.
3️⃣ AI 반도체 시장의 변화 가능성
현재 AI 모델을 훈련하고 실행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고성능 GPU입니다. 엔비디아는 CUDA(소프트웨어) + GPU(하드웨어)로 AI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중국이 자체 AI 반도체를 개발하면 엔비디아의 독점적 지위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엔비디아의 대응 전략
✅ 1) AI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센터 사업 확장
엔비디아는 단순한 반도체 기업이 아니라, 클라우드 AI 서비스와 AI 최적화 소프트웨어(CUDA)를 통해 데이터센터 및 AI 소프트웨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2) 중국 외 AI 반도체 시장 확대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 축소를 보완하기 위해 미국, 유럽, 한국, 일본 등의 AI 반도체 수요가 높은 국가들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메타(페이스북)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AI GPU를 대량 구매하고 있습니다.
✅ 3)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
엔비디아는 H100 이후 차세대 AI GPU인 B100, H200 등을 개발 중입니다. 성능이 계속해서 발전하면, 중국의 자체 반도체 기술이 성장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엔비디아가 AI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큽니다.
📌 딥시크의 등장이 엔비디아에 미치는 영향
- 단기적으로는 영향이 제한적 → 엔비디아가 여전히 시장을 지배
- 중장기적으로 중국 AI 반도체 시장 성장 가능성 → 엔비디아 매출 감소 위험
- 엔비디아는 AI 소프트웨어 및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대응 중
결과적으로, 딥시크의 등장은 엔비디아에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단기간 내에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독점을 흔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