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CT 국가자격시험 인기 급증! 20대가 이끄는 IT 자격증 트렌드 분석

by 왕관앵무 2025. 4. 2.
반응형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국가자격 필기시험 응시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과 모바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IT 신기술을 습득하려는 20대 젊은 층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요. 반면 40대 이상 중장년층의 응시율은 여전히 낮아, 연령에 따른 정보기술 자격증의 문턱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ICT 국가자격시험의 최신 트렌드와 인기 자격증, 취업률 등 자세한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ICT 분야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자 급증, 20대 관심 집중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2020~2024년)간 ICT 분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자는 연평균 8.0%나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국가기술자격 응시자 증가율(5.1%)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로, 정보통신 분야의 인기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20대 응시자가 전체의 64.5%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 취업과 직결되는 IT 기술을 미리 습득해 빠르게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려는 청년층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입니다.


가장 인기 있는 ICT 자격증 1위,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

최근 5년간 가장 빠르게 증가한 자격증은 바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였습니다.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이 대세로 자리 잡으며 영상 콘텐츠 제작과 운영 능력을 갖춘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    연평균 증가율 26.4%로 ICT 분야 1위
  •    유튜버, 영상 콘텐츠 제작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자격증으로 인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는 기획부터 프로그래밍, 디자인까지 콘텐츠 제작 전반을 담당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꾸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꾸준한 인기, 취업에 유리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두 번째로 높은 인기를 보인 자격증은 '정보처리기사'였습니다. 2024년 필기시험 응시자가 6만6169명을 기록하며 최근 5년 내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    연평균 증가율 11.2% (ICT 분야 2위)
  •    이공계뿐 아니라 인문계 취업 준비생에게도 인기 높은 자격증
  •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개발 등 IT 기업 취업에 유리

특히 건강보험 데이터를 통한 분석에 따르면,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한 미취업자 중 49.5%가 취업에 성공해, 실질적으로 취업에 큰 도움이 되는 자격증으로 입증되었습니다.


감소하는 정보처리산업기사·정보처리기능사 응시율

한편, 중급·기초 단계 자격증인 정보처리산업기사와 정보처리기능사는 최근 인기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    정보처리산업기사 응시자 연평균 2.8% 감소
  •    정보처리기능사 응시자 연평균 증가율 4.5% (평균 이하)

최근 IT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기초 자격증보다는 실무에 바로 투입 가능한 전문성 높은 자격증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연령별 ICT 자격증 응시 현황, 중장년층 참여 여전히 부족

ICT 자격증은 20대 젊은 층이 주도하고 있으며, 중장년층의 참여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대: 64.5%
  •    30대: 20.1%
  •    40대: 6.2%
  •    50대: 1.6%
  •    60대 이상: 0.3%

중장년층에게는 IT 자격증이 여전히 높은 진입 장벽으로 여겨지며, 디지털 전환 시대에 이들을 위한 접근성 확대와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IT 자격증, 취업과 미래를 위한 필수 경쟁력

ICT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산업 구조가 급속히 디지털화되면서 이를 따라잡기 위한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20대 중심으로 ICT 자격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 디지털 기술 역량은 취업 경쟁력의 필수 조건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입니다.

다만 중장년층의 낮은 참여율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앞으로는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기술 교육과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